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제는 백종원이 프렌차이즈를 한다는 것 백종원은 프렌차이즈 전문 기업을 이끌고 있다. 백종원의 특장점으로 봐서 이 기업의 장래는 어떨까? 사실 파이낸스 전공인 나로써는 이런 데 관심이 안 갈 수가 없다. 애플의 특장점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유려한 통합이다. 백종원의 특장점은 맛은 좀 별로라도 그럭저럭 흉내내는 음식을 싼 재료와 저급 기술로도 만들어내는 양산화 능력이다. 그럼 여기서 얘네가 경쟁해야 하는 시장이 딱 보인다. 외식업 중에서도 제일 바닥이다. 물론 바닥 뚫고 지하실 들어간 식당들도 많이 있지. 그런데 그런 지하실을 일부러 찾아가는 사람은 없잖아. 어쩌다 우연히 찾아가서 똥 밟았다 하는 게 그런 지하실인 거지. 이래서 백종원 프랜차이즈 음식점이 번창할 수 있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지하실로 가득 차 있는 .. 더보기
백종원 프렌차이즈 음식의 방향성을 알 것 같다 나는 백종원이라는 사람에 대해서 잘 모른다. 한국 TV에 많이 나왔다는데, 나는 뭐 그런 것도 안 보고. 그런데 우리 마누라가 백종원 레시피를 참고해서 이런 저런 음식도 만들고 해서 유튜브 클립은 몇 개 봤다. 이 사람의 이력도 대충은 알고. 아무리 마누라가 이 사람의 레시피를 많이 썼다고는 해도, 이 사람의 음식을 내가 안다고 할 수 있겠나. 제아무리 고든 램지 레시피라도 실행하는 사람이 나면 뭐 고든 램지의 음식이라고 할 수가 없지. 그런데 얼마 전에 드디어 백종원 프랜차이즈의 짜장면을 먹어봤고, 이 사람이 지향하는 바를 확실히 알 것 같다. 잘 하는 집의 짜장면을 100점이라고 하면, 백종원 프랜차이즈의 짜장면은 70점 정도다. 집에서 이 맛을 내기는 쉽지 않지만 음식점 중에서는 아쉬운 정도지. 대.. 더보기
진짜 세계의 질서가 바뀌는 듯 한국이 IMF를 뚜드려맞은 게 1997년이다. 원인이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핵심적인 건 OECD에 가입하면서 금융 시장을 개방했던 것이다. 그리고 해외여행 자유화도 1989부터 이뤄졌다. 대충 한국 기준으로는 1990년대에 자본과 사람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는 세계화의 물결에 올라탄 게지. 미국이 한국 보다 이른 시점에 세계화를 선도했다고 보면 그리 크게 틀리지는 않을 것 같다. 미국의 역사는 팽창의 역사니까. 더 따먹을 수 있는 땅이 사라지자 자본과 재화, 그리고 사람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세계화를 추진했다고 봐도 될 것 같다. 그런데 이 패러다임이 바뀌는 것 같다. 관세로 재화의 이동을 제한하고, 이번에는 H1B 비자를 어렵게 만들어서 사람의 이동을 제한하려고 한다. 불법체류자들은 진작에 쫓겨나..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