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imple Life

내가 미국 시민이 되는구나

어제 Naturalization Interview 마쳤다. 나를 담당한 public officer 승인했다고 알려줬고, 앞으로 있을 절차에 대해서 간략하게 말해줬다. 간단하고 쉬울 거라고 덧붙이더라. 나는 미국 시민권 취득을 위한 가장 중요한 허들을  넘은 것이다. 건물을 빠져나가는 길에 보안 요원들을 만났다. 들어올 때는 쓸데 없이 고압적이었던 그들이 나가는  보고는 친절하게 인사를 건내는  보고 새삼 실감했다.

 

인터뷰 자체는 별로 어렵지 않았다. 100 civics question, 위화를 잠시 내려놓고, 출퇴근 하는 길에 읽으면서 충분히 숙지하고 있었고,  신상에 대한 질문들도 N-400 내가 직접 채워놓은 내용들이어서, 아니 그렇지 않더라도  인생의 여정에 대한 것들이니, 전혀 어렵지 않았다. 영어 능력에 대한 질문도 있었는데 간단했다. 아마 나를 심사하는 입장에서도 나는 지극히 쉬운 케이스이지 않았을까 싶다. 15 전에 미국에 와서 학교 다니고 일하고  키우면서 살고 있고,  과정에서 불법 같은  없었고 세금도 성실하게  냈다.  동안 다닌 학교도 하나에 회사도 하나만  다니고 있으니까 이보다  간단하기도 쉽지 않을  같다.

 

 한가지 토를 많이 달아야했던 점이 있는데 한국에서 이행했던 병역 의무였다. 그런데 한국 남자에게 병역의 의무가 있는   알려진 사실 같아 보였다. 어디서 어떤 훈련을 받았는지, N-400 자세히 기술했음에도, 설명해야 했지만  까다롭게 대한다는 느낌은 받지 못했다.

 

내가 미국 시민권을 따야겠다고 결심한 계기는 따로 없다. 한국 시민권과 미국 시민권의 장단점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계산해서  결정은 아니었다. 그냥 나는 앞으로 미국에서  거니까 당연히 미국 시민이 되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아마도 이게 옳은 결정일 것이다.  삶은 여기 미국에 있고,  아이들도 미국인으로 자라나고 있다. 그러니 한국 시민권을 갖고 영주권을 갱신하는  부자연스럽다.  뿐이다.

 

다른 사람들에 비해서 나에게  특별한 조건을 찾으면, 나는 한국에 아무런 미련이 없다. 시민권 취득을 망설이는 사람들은 흔히 다시 한국에서 살고 싶으면 어떡하냐는 얘기를 하던데 나는 그럴  없다. 내가 가장 사랑하는 사람들은 미국에 있고, 나를 가장 사랑하는 사람들도 미국에 있다. 나는 한국에서보다 미국에서 훨씬 좋은 삶을 살고 있다. 미국으로  직후부터 그랬다. 나는 한국에서 다녔던 회사보다 지금 다니는 회사가 나를  필요로 하고 나를  높게 평가한다고 생각한다. 한국보다 미국이 나를  원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안다. 나는 여기서 2 시민이라는 사실을 말이야. 미국의 주류라   있는 WASP 계열 사람들에게는 비빌  없을 거라는  너무나  알고 있다. 하지만 어느 선배가 내게 그랬지. 한국에서 2 시민으로 사는 것보다야 미국에서 2 시민으로 사는   낫다. 여기 100% 동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