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imple Life

불쌍한 아이 부디 편히 쉬길

어린 아이가 계모에게 맞아서 숨졌다는 뉴스를 봤다. 어쩌다가 그날만 심하게 때려서 애가 죽은 것도 아니더라. 몇년 동안이나 때려오다가 결국 그렇게 됐다고 한다.

계모는 훈육하느라 때렸다고 하는데, 도대체 그 아이가 무슨 대단한 죄를 저질렀다고 죽을 때까지 맞아야 했을까? 어디 가서 사람이라도 죽이고 왔단 말인가?

기사를 읽는 순간 가슴이 먹먹했다. 얼마나 무서웠을까. 그 불쌍한 아이는 지옥에서 산 것일게다. 그 힘 없는 아이가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을동안 친부마저도 외면했단다. 아마도 새장가를 든 아내 눈치를 보느라 그랬을 것이다.

어린 시절에 비슷한 일을 당했던 사람으로부터 과연 그게 아이에게 어떤 의미인지를 들어본 적이 있다.

제대로 된 이유도 없이 부모가 몽둥이를 휘두르며 달려오는데 피할 곳은 없다. 죽어버리는 것이 낫다고 폭언을 퍼붓고 실제 폭력도 목숨의 위협을 느끼는 수준이다. 아무도 편들어주는 사람도 없고 대신 손가락질하고 조롱하는 사람만 있다. 그 폭력과 조롱을 피할 곳도 없고 감싸주는 사람도 없다. 게다가 이것이 어쩌다 한번도 아니고 일상적인 일이라면 과연 그 아이는 어떻게 느낄까?

이건 그냥 그 자그마한 존재가 설 자리가 모두 없어지는 것이다. 존재의 가치, 이유 모두 부정당하는 것에 다름이 아니라 했다.

한번은 개처럼 쳐맞다가 탈출해서 몇시간이고 거리를 걸었던 이야기를 해줬다. 괜히 친구집에 갔다가는 다시 끌려가서 맞을 것 같아서 친구 집에 가지도 못했단다. 그냥 몇시간을 걷다가 어느 고가 도로 위로 올라갔단다. 아래를 내려다보니 그냥 여기서 끝낼 수 있겠단 생각이 들었단다. 어차피 신경 쓰는 사람도 없다. 집에 가면 또 그 모멸감과 폭력을 견디며 하루하루 버텨야 하는데 그럴 이유를 모르겠어서 그냥 끝내버리고 싶었단다.

거기서 끝내지 않고 집으로 돌아간 이유는 뭐였을까? 자기가 그런 꼴을 당하는 이유를 생각해봤는데, 딱 답이 나오더란다.
“힘이 없어서.”
작고 힘이 없어서 그 꼴을 당한다고 생각하니 덩치가 크면 안그런 날이 오겠다는 생각이 들었단다. 그 사람도 참 독한게, 그렇게 크려면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는데 그래도 그때까지 견뎌내면 광명 찾을 수 있겠다는 희망이 생기더란다. 그래도 쉽지 않은 결정이었고 집으로 돌아가 식구들의 비아냥과 폭력을 다시 마주하던 순간 받은 스트레스가 인생에서 최악의 경험이었단다.

물론 뒤로도 바뀐 것은 없었고 그냥 그 희망 하나로 꾸역꾸역 버텼단다. 그러다가 진짜 나이를 먹어가고 힘도 세지면서 점차 숨쉴 구멍도 생기더란다. 결국 그 시절을 다 견뎌내고 나왔다. 정말 제대로 떨어져 나와서 남남처럼, 그러나 행복하게, 살고 있다. 독하다. 나름 해피앤딩인 것 같은데 여전히 어린 시절은 악몽이란다. 얘기를 다 들어보니 그 사람이 특별하게 독했으니 망정이지 조금만 여렸어도 사고를 치지 않았을까 싶더라.

애가 강하면 버텨내느니 어쩌니 하면서 지랄하는 놈들은 기본 전제를 빼먹고 있다. 어린 아이는 훈육 이전에 보호받아야 할 대상이다. 가정은 어린 아이에게 의지할 보금자리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가정으로부터의 학대는 보금자리를 생지옥으로 만든다. 피할 곳 없는 생지옥 말이다.

이건 취업 못한 대학생이나 직장에서 잘린 실업자가 받는 스트레스보다 훨씬 클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 사람들은 술한잔 하면서 넋두리라도 할 친구가 있지 않은가. 어린 아이에게는 가족이 전부인데 거기서 저런 학대를 받으면 도대체 어쩌란 말인가. 그 불쌍한 아이. 얼마나 괴로웠을까. 얼마나 절망했을까. 부디 명복을 빈다.
반응형